Skip to content

대한성공회 제자교회대한성공회 제자교회

  • 역사적 예수와 토지 2 - 마가의 전승경향성에의 비유사성 , 신현우(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신약학 교수)


  • 마가의 전승경향성에의 비유사성


      마가에게는 마가복음 10:18에서 예수께서 자신을 하나님과 대조시키며 선하심을 오직 하나님께 돌린다. 이것은 예수의 신성을 부정하는 듯한 난해구절이다. 그런데, 마가복음은 예수의 신성을 부정하지 않는다.

      마가복음 2:5-7은 예수께서 하나님께서만 하실 수 있는 죄 용서를 하심을 기록하며, 마가복음 6:48은 하나님께서만 하실 수 있는 물 위를 걷는 일을 행하심을 기록한다.1) 마가복음 14:62은 예수께서 자신이 하나님 우편에 앉게 될 것과 하늘 구름을 타실 것을 말씀하신다. 이것은 유대인들이 듣기엔 신성모독으로 들렸다(마가복음 14:64). 그러므로 마가에게는 마가복음 10:18에서 예수께서 자신을 하나님과 대조시키며 선하심을 오직 하나님께 돌린 이야기를 창작할 이유가 없었다. 따라서 마가 10:18은 역사적 진정성 때문에 보존되어 왔고, 그리하여 마가도 이것을 보존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마가복음 10:22에 사용된 ‘끄떼마따’(토지)는 과연 마가가 창작한 흔적을 담고 있지는 않은가? 혹시 누가복음의 ‘쁠루시오스’(부유한)가 더 오래된 전승의 단계를 반영하지는 않는가? ‘끄떼마’라는 단어는 신약성서에서 단지 4번 사용되고, 마가복음에서 1번 사용된다. 한편 형용사 ‘쁠루시오스’는 신약성서에서 28번 사용되고, 마가복음에서 2번 사용된다. 70인역(외경제외)에서는 ‘끄떼마’가 7번, ‘플루시오스’가 31번 사용된다. 그러므로 ‘끄떼마’는 ‘쁠루시오스’보다 덜 친숙한 표현이다. 그러므로 마가가 더 친숙한 ‘쁠루시오스’(부유한)를 ‘끄떼마’(토지)로 바꾸어 전승하였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

      혹시, ‘끄떼마’(토지)가 아니라 ‘크레마’(재물)이 더 오래된 전승의 단계를 반영하지는 않을까? ‘크레마’라는 단어는 70인역(외경제외)에서 10번 사용되었고, 신약성서에서 6번 (마가복음에서는 1번) 사용되었다. 그러므로 이 단어는 70인역(외경제외)에서 7번, 신약성서에서 4번 사용된 단어인 ‘끄떼마’보다는 더 친숙한 단어이다. 그러므로 마가가 ‘크레마’를 일부러 상대적으로 덜 친숙한 ‘끄떼마’로 바꾸어 전승하였을 가능성도 낮다.

      마가가 10:22을 창작하였을 가능성도 낮다. 만일 창작하였다면 마가는 그가 다른 곳에서 전혀 사용하지 않은 ‘끄떼마’보다는 9번이나 사용한 ‘아그로스’(전토)를 사용하였을 것이다.

    --------------------------------------------------------------------------------

    1) 구약에 의하면 물 위를 걷는 분은 오직 하나님뿐이시다(욥 9:8; J. R. Edwards, The Gospel According to Mark [Grand Rapids: Eerdmans, 2002], 198).

댓글 0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등록일 
229 김장환엘리야 2039 2014-06-18
228 김장환엘리야 2113 2014-07-22
227 김장환 엘리야 2115 2011-04-07
226 김장환엘리야 2119 2014-06-24
225 김장환 엘리야 2160 2009-10-26
224 김장환 엘리야 2165 2009-06-03
223 김장환 엘리야 2167 2009-11-13
222 김장환엘리야 2178 2014-07-22
221 김장환 엘리야 2181 2010-04-23
220 김장환엘리야 2181 2014-08-16
219 김장환 엘리야 2182 2012-01-12
218 김장환 엘리야 2183 2009-06-03
217 김장환 엘리야 2184 2011-12-03
216 김장환 엘리야 2186 2009-12-11
215 김장환 엘리야 2186 2010-02-13
214 김장환엘리야 2186 2014-03-04
213 김장환 엘리야 2190 2009-08-17
212 김장환 엘리야 2192 2012-02-22
211 김장환엘리야 2192 2014-07-26
210 김장환 엘리야 2195 2011-08-06
태그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