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대한성공회 제자교회대한성공회 제자교회

  • 한국 교회 교인들 - 신앙 건강성 빨간불!!! (한목협 설문조사)
  • 한국교회 교인들의 신앙 건강성 지표가 8년 전보다 퇴보한 것으로 드러났다. 기복 신앙적 양상은 증가한 반면 기독교 교리와 윤리 문제에 대한 인식 및 개인 신앙생활의 밀도는 약화됐다.

    10명 중 3명만 ‘구원·영생을 위해서’ 신앙생활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대표회장 전병금, 이하 한목협)는 31일 서울 화곡동 소재 강남교회에서 열린 신년기도회를 갖고 ‘한국인의 종교생활과 의식조사’ 1차 결과를 발표했다.

       
    ▲ 개신교인의 신앙생활 이유 (단위 %)
    조사 결과, 한국교회 교인들의 신앙 건강성 지표가 8년 전인 2004년 ‘한국교회 미래 준비모임’가 실시한 ‘한국 개신교인의 교회활동과 신앙의식 조사’ 때보다 나빠졌음이 확인됐다.

    먼저 기독교인들의 신앙의식과 관련, 지난 조사 때보다 개인적이고 현세 지향적이며 기복적인 양상을 보인 것이 눈에 띈다.

    응답자 1000명은 ‘신앙생활을 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마음의 평안을 위해서’(38.8%), ‘구원·영생을 위해서’(31.6%), ‘건강·재물·성공 등 축복을 받기 위해서’(18.5%) 순으로 답했다.

    ‘마음의 평안’과 ’건강·재물·성공 등 축복’은 다른 종교에서도 얻을 수 있는 반면, ‘구원·영생’은 오직 기독교에서만 얻을 수 있는바 기독교인 10명 중 3명만이 기독교의 본질과 관련된 이유로 신앙생활을 하는 충격적인 결과가 아닐 수 없다.

    참고로 지난 2004년의 조사에서는 ‘구원·영생을 위해서’가 이번 조사보다 13.9% 높은 45.5%로 1위를 차지했었다. ‘건강·재물·성공 등 축복을 받기 위해서’는 11.4% 낮은 8.5%에 불과했다.

    ‘윤리적ㆍ문화적 세속화 현상’ 빠르게 확산 중

       
    ▲(표1) 교리에 대한 인식(긍정율, 단위 %)
    당연한 결과로서 ‘그리스도를 영접하고 구원의 확신’을 갖는 비율도 2004년 77.1%보다 13.9% 낮아진 63.2%를 기록했다. ‘유일 신앙’에 대한 긍정율은 67.2%로 2004년 78.4%보다 11.2% 낮은 수치를 보였다.

    반대로 종교다원론(30.2%), 궁합(29.5%), 풍수지리(29.5%), 윤회설(19.5%) 등에 대한 긍정의 정도는 4년 전보다 10~15% 정도 높아진 결과를 보였다. (표1 참조)

       
    ▲(표2) 현대사회 윤리문제에 대한 인식(허용율, 단위 %)
    연관된 문제로서 이혼(60.9%), 낙태(41.5%), 음주(72.5%), 흡연(62.3%), 혼전 성관계(51.3%), 외도(15.1%), 뇌물 제공(30.2%) 등 현대사회 윤리문제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이전과 비교해 높아진 긍정율을 기록해 ‘문화적 세속화 현상’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음을 나타냈다. (표2 참조)

    개인의 전도 경험과 성경묵상, 기도 등 개인 신앙생활의 내용도 이전보다 빈곤해졌다. ‘언제 QT시간을 가졌나’는 질문에 38.1%만 ‘그렇다’고 대답했다. 

    개인의 1년간 전도 경험율은 26.4%에서 25.8%로 1.4% 낮아졌다. 주 평균 성경묵상 시간은 1시간 2분에서 48분으로 14분, 하루 평균 기도 시간은 27분에서 24분으로 3분 줄었다.

댓글 0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등록일 
317 강인구 ^o^ 1983 2007-07-09
316 김장환 엘리야 1976 2008-06-07
315 김문영 1970 2013-03-20
314 서미애 1966 2008-08-06
313 김장환 엘리야 1964 2007-03-02
312 전혁진 1956 2006-05-26
311 강인구 ^o^ 1954 2007-09-07
310 김장환 엘리야 1953 2011-03-23
309 김장환 엘리야 1951 2011-04-16
308 강인구 ^o^ 1949 2008-07-14
307 김장환 엘리야 1948 2008-04-05
306 김장환 엘리야 1944 2010-09-10
305 김장환 엘리야 1942 2012-05-14
304 강인구 1939 2006-07-24
303 김문영 1935 2012-04-17
302 김장환 엘리야 1934 2011-12-18
301 김장환 엘리야 1927 2012-03-28
300 김장환 엘리야 1925 2012-05-08
299 김장환엘리야 1903 2014-08-23
298 최은영 1896 2007-07-04
태그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