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대한성공회 제자교회대한성공회 제자교회

  • 단기선교여행
  • 조회 수: 1218, 2005-12-17 11:52:16(2005-12-17)
  • -한국 교회는 해마다 1∼2주간 단기선교사역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습니다. 윈터 박사님은 단기선교여행에 대해 매우 비판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윈터 박사=매년 약 50만명의 미국인들이 단기선교여행을 떠나고 있습니다. 천문학적인 경비가 지출되고 있죠. 약 5만명의 장기선교사들이 매년 선교비로 쓰는 액수보다 많다는 것을 고려할 때 너무 많은 대가를 지불하고 있는 셈이죠. 가장 중요한 것은 얼마나 장기적으로 선교에 힘쓸 수 있느냐입니다. 과테말라에서 10년간 선교사로 활동할 때의 경험을 나누겠습니다. 1차 안식년을 마친 뒤 다시 선교지로 돌아갔을 때의 일입니다.현지인들이 저를 보더니 놀라는 눈치였어요. 서양선교사란 잠시 그들 안에 머물다가 떠나면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다는 개념을 깨뜨렸기 때문입니다. 과테말라 사람들이 그때 비로소 저를 진정한 동역자로 받아들이기 시작했어요.

    -실제로 미국에서 단기선교가 장기선교를 막는 경우가 많은지요? 미국의 선교상황을 말씀해주십시오.

    △윈터 박사=크게 세가지로 미국의 선교 현황을 설명하죠. 첫째,교회들이 장기선교사 후원보다는 단기사역자 지원을 선호합니다. 저는 단기선교란 진정한 선교가 아니라 일종의 교육이라고 구분하고 싶어요. 단기선교를 너무 절대화하면 교회의 진정한 선교동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둘째,선교사를 파송하는 것보다 돈을 보내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현지 기독인들을 돈주고 고용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에 미국인들은 큰 대가를 지불하고 굳이 현지로 나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죠. 선교지에서 양성된 현지인 선교사들은 동족들로부터 후원을 받아야 합니다. 해외에서 들어오는 돈을 후원받는 현지인들은 책임감없이 일할 수 있습니다. 아직도 수많은 종족 가운데 외부에서 온 사역자들이 필요합니다. 셋째,미국 교회들이 선교기관을 통하지 않고 선교사들을 직접 현장으로 보내고 있습니다. 교회는 직접 선교사를 보내기에 앞서 도움을 줄 수 있는 선교단체와 연대해서 선교에 힘써야 해요. 서로 도우면 중복투자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댓글 0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등록일 
3030 동행 2460 2015-01-19
3029 청지기 2457 2021-02-21
3028 청지기 2456 2019-07-21
3027 임용우(요한) 2452 2003-07-04
3026 (엘리아)김장환 2443 2003-11-01
3025 아그네스 2440 2006-12-23
3024 청지기 2436 2019-05-12
3023 청지기 2435 2021-08-07
3022 청지기 2433 2021-09-25
3021 청지기 2432 2014-12-15
3020 청지기 2431 2021-08-14
3019 박동신 2430 2003-08-13
3018 김바우로 2429 2012-08-04
3017 청지기 2428 2019-09-29
3016 청지기 2426 2014-05-27
3015 니니안 2425 2014-01-07
3014 김장환엘리야 2425 2013-09-07
3013 청지기 2424 2020-04-28
3012 청지기 2420 2020-11-08
3011 청지기 2417 2020-06-15
태그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