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대한성공회 제자교회대한성공회 제자교회

  • 하루 열두번의 포옹(폄)
  • 조회 수: 1640, 2003-10-06 09:19:21(2003-10-06)

  • 하루 열두 번의 포옹.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바로 그것이다.
    신체적으로는 말할 것도 없고 말이나 눈으로,
    혹은 분위기로도 포옹해 줄 수 있다.
    다른 사람들에게서 여러 가지 정서적 영양분을 받는 것이나,
    명상과 기도를 통해서 영적 자양분을 공급 받는 것도
    모두 포옹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스티븐 코비의 《성공하는 가족들의 7가지 습관》중에서 -



    * 포옹은 서로를 끌어안는 것입니다.
    가슴을 맞대어 체온을 느끼고, 숨소리를 나누는 것입니다.
    인간의 행위 가운데 가장 따뜻한 것이 포옹입니다.
    하루 열두 번의 포옹도 부족합니다


    1. 포옹하는 방법 --
    상대의 오른(왼) 쪽 뺨에 나의 왼(오른) 쪽 뺨을 댄다.
    반드시 뺨이라야 한다.

    고개를 어긋 맞대는 것은
    엄밀한 의미에서 포옹이 아니다.
    왜냐하면 포옹은 모든 것을 용납한다는 적극적인 표현이기 때문이다.
    목을 어긋 맞대는 것은
    선택적이고 외식적인 용납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물론 동성일 때도 그렇고,
    이성 간일 때도 그렇다.
    예수 안에서 사랑과 신뢰를 표현할 때는....


    2. 가족 안에서 포옹할 때는--
    항상 공개적이어야 한다.

    즉 다른 식구들이 보는 앞에서 해야 한다.
    부부간의 포옹은 반드시 자녀들 앞에서 해야 하고,

    자녀들과의 포옹일 경우에도
    다른 식구들이 보는 앞에서 해야 한다.

    왜냐하면 식구들 앞에서의 포옹은
    다른 식구들의 가슴에
    신뢰와 안정감이라는 불을 질러놓고
    오랫동안 타게 하기 때문이다

댓글 0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등록일 
3511 청지기 4859 2019-02-20
3510 청지기 4854 2019-08-19
3509 김바우로 4851 2003-03-14
3508 니니안 4836 2013-08-09
3507 청지기 4832 2019-04-07
3506 이종림 4827 2003-03-13
3505
샬롬! +1
김석훈 4824 2003-03-20
3504 청지기 4815 2019-02-11
3503 김장환엘리야 4815 2014-09-29
3502 박마리아 4813 2013-12-06
3501 휴고 4806 2003-04-03
3500 청지기 4800 2019-09-08
3499 청지기 4787 2019-09-08
3498 하인선 4782 2003-04-18
3497 박마리아 4781 2013-07-16
3496 박마리아 4775 2013-08-19
3495 박마리아 4744 2013-11-04
3494 임용우(요한) 4740 2003-06-04
3493 장길상 4737 2016-08-12
3492
자리 +2
박마리아 4727 2013-09-02
태그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