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대한성공회 제자교회대한성공회 제자교회

  • [교회가 타락한 것이 아니라 사회가 타락한 것입니다.] 이민규교수
  • [교회가 타락한 것이 아니라 사회가 타락한 것입니다.]

    1. 필자도 교회의 부패를 고민하고 비판하지만, 개혁을 추구하는 사람을 믿지 않는다. 필자는 분명히 교회의 부패를 진심으로 고민하는 이들 중의 하나다. 그러나 나이가 드니 이제 자신과 남을 바라보는 순진한 가면을 벗게 된다. 나 자신에게도 죽을 때까지 뿌리 뽑기 어려운 인간의 깊은 이기심이 보인다. 그래서 나 자신의 “정의로움 "을 믿지 않는다. 필자 자신이 그러하다 보니 개혁을 고민하는 사람들을 별로 신뢰하지 않는다. 내가 그러하니 남도 그렇게 보이는 탓일까?

    2. 개혁이 아니라 성장을 고민하는 사람의 본성! 결국, 밥그릇.
    소수의 순수한 이들을 제외한다면 교회 개혁을 외치지만 “교회의 타락” 자체가 아니라 내면적으로는 “교회성장의 멈춤”을 위기로 보는 목회자들이 다수다. 물불 안 가리고 쓴소리를 잘하시는 어느 존경하는 목회자의 고백처럼 부흥한 목사를 강사로 모신 “교회성장 세미나”는 차고 넘치는데 수년간 “바른 교회 세미나”를 할 때마다 항상 텅텅 빈다고 한다. 결국, 현실은 밥그릇이니까! 교회를 비판하고 개혁을 주장하는 것을 통해 “성장”과 “인기”를 꿈꾼다. 교인들이 듣고자 하는 개혁의 소리를 말하는 것도 또 다른 왕국을 세우는 도구가 된다. 진정한 회개는 없으면서 말이다. 역사 속에서 사회개혁이나 혁명은 언제나 기득권층과 기득권층에서 몰락한 상류 계층과의 투쟁이었다. 그들은 분노에 찬 서민들을 이용한다. 역사 속에서 서민들 중심이 되어 개혁이 성공한 경우는 거의 없었다. 우리나라의 역사 속에서도 서양의 역사 속에서도 몰락한 양반이나 귀족계층이 주로 개혁의 주체였다.

    3. 교회의 문제는 사회의 문제 안에서 보아야 한다.
    우리나라의 기독교는 성장이 멈추면서 기독교인의 불행도 커지고 희망도 줄어들었다. 많은 목회자 지망생이 분노에 차 있다. 겉으로는 “개혁”을 말하지만, 막상 사소한 이익에도 언제나 민감하다. 심한 경우는 분노조절장애로 영혼이 병들어 간다. 분노에 사로잡힐 때 자신도 사회도 불행할 수밖에 없다. 어떤 이들은 한국교회의 타락이 오직 은혜/믿음의 가르침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교회의 타락은 정말 복음이 잘 전해지지 못해서일까? 올바른 가르침이라면 올바로 살 수 있을까? 교회의 타락은 믿음과 삶을 구별하는 이론적인 문제만은 아니다. 한국교회의 가장 근원적인 문제는 한국사회다. 사회가 성숙하지 못하기에 교회도 성숙하지 못한 것이다. 사회 정치 경제가 성숙하지 못할 때 종교도 역시 “죄를 죄를 범한 나라요, 허물진 백성”이 된다.

    4. 교회가 사회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순진한 생각.
    많은 이가 교회가 사회를 변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순진한 생각이다. 물론 그렇게 된 적이 없다는 것은 아니다. 그런 부흥은 사회가 깊은 혼란과 위기에 빠져 아무 희망이 없을 때 피어나는 꽃이다. 1세기 팔레스타인 예수운동, 영국 웨일스 대부흥, 일본 강점기의 평양 대부흥 운동 모두 사회 정치 경제가 비참하고 사람들은 모두 불안하고 절망할 때였다. 그래서 대부흥은 결국 그리스도의 복음밖에는 희망이 없다는 것을 인식했을 때 일어난 사건이다. 미국에 있을 때 한 미국의 신학자가 필자에게 물어본 적이 있다. 미국에도 한국처럼 큰 부흥이 일어날 수 있겠냐고? 딱 잘라서 말했다. 지역적 부흥은 가능해도 미국이 사회 정치 경제적으로 폭삭 망하지 않는 한 사람들은 교회로 몰려들지 않을 것이라고 말이다. 배부른 나라에서는 사람들이 목매달지 않기에 개별적인 교회나 지역 중심의 국지적 부흥은 가능해도 국가적 부흥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전반적인 양적 부흥은 분명히 사회적 현상이다.

    5. 교회가 사회를 이끌어 나아가야 한다고 하지만 그것은 특정한 상황에서나 가능성이 높은 이론이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교회의 수준이 사회의 민도를 넘을 수가 없다. 교회란 사회의 구성원으로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6. 자, 우리 사회가 바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 이유를 말하고자 한다. 사회를 외면하면 교회의 타락을 막을 수가 없다. 사회가 변화되기 전에 교회는 결코 타락을 멈추기 어렵다. 기독교인들이 사회에 관심을 둬야 하는 이유다. 사회에서 거짓된 사람이 교회 다닌다고 정직해지기란 사실상 어렵다. 때론 불가능에 가깝다. 미국사회를 기초로 한 통계자료를 보면 종교생활의 현실은 개인의 “고통”을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을 주는 것은 검증된 사실이라도 사람을 윤리적으로 변화시키는 데는 거의 의미가 없다고 한다. 변화된다면 소수에게나 해당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 교회는 마치 교회를 다니기만 하면 모든 이가 변화될 수 있는 것처럼 말한다. 어떤 이들은 예수님을 개인의 구주로 “영적으로 인격적으로 만나면 변화된다”고 한다. 필자가 그간 관찰한 결과 사실이라고 말하기엔 개인차가 크다. 영적으로 인격적으로 만났다고 하는 사람 중에도 독선적이고 정서적으로 심각한 사람들이 많은 것을 발견하기 때문이다.

    7. 신앙의 올바른 방향과 꾸준한 노력을 통해 사람이 변화될 수 있는 것은 틀림없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는 소수에게만 주어진 복이다. “적은 무리여 무서워 말라 너희 아버지께서 그 나라를 너희에게 주시기를 기뻐하시느니라” (눅 12:32). 한국 기독교가 전반에 걸쳐 변하려면 사회가 성숙해지는 길이 가장 현실적이다. 여기에는 순환의 원리가 적용된다. 교회는 사회의 성숙에 이바지할 수 있고, 사회가 성숙해야 교회가 성숙해진다.

    8. 교인들이여! 한국교회의 타락에 실망할 필요가 없다.
    이제 교회는 사회에서 고립된 섬이 아니라 사회에 깊숙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알아야 한다. 세상에 속하지는 않지만, 교회는 세상 안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교인들이여! 교회의 타락에 실망할 필요는 없다. 좌절하면 우리만 손해다. 과감하게 분노와 좌절감을 벗어나야 한다. 교회의 문제는 지금 한국 사회의 깊은 문제 안에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백 번, 천 번, 만 번, 실패란 없다. 한 방울 한 방울 끊임없이 떨어지는 물이 돌에 구멍을 낸다. 돌 위에 물 한 방울이 떨어질 때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돌이 마모되는 것이 보인다고 한다. 진정 하나님의 교회에 관심이 있다면 사회에 관심을 둬야 한다. 교회는 세상 안에, 세상은 교회 안에 있기 때문이다. 교회의 타락에 분노하고 개혁을 꿈꾸지만 말고 사회의 타락과 개혁을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 넓게보면 사회정화없이 교회의 정화도 없다. 그리고 변화는 천천히 일어나는 성질의 것이니 너무 조급하지 말자! 변화는 이미 잘 일어나고 있다.

    9. 타락한 교회의 타락한 사회개혁, 거의 불가능해 보인다. 악의 순환이니까! 허나 돌도 물방울에 구멍이 난다. 어떻게? 의구심이 들 문제가 아니라 엄연한 현실이다. 올바른 방향과 꾸준한 노력! 변화는 느리지만 반드시 온다. 겨자씨의 비유처럼, 누룩의 비유처럼 당장 눈에는 안 보여도!

댓글 0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등록일 
2633 이병준 1723 2007-03-17
2632 김장환엘리야 1716 2014-07-30
2631 니니안 1713 2014-11-03
2630 김진세 1713 2003-09-18
2629 박의숙 1713 2003-07-11
2628 임선교 1712 2003-11-17
2627 서미애 1707 2012-12-04
2626 강인구 1707 2004-06-09
2625 강인구 1707 2003-10-22
2624 김문영 1706 2014-01-27
2623 김바우로 1701 2003-11-10
2622 청지기 1699 2011-05-03
2621 청지기 1696 2022-12-13
2620 김장환엘리야 1694 2014-12-20
2619 박마리아 1692 2013-03-14
2618 신기호 신부 1691 2007-02-15
김장환엘리야 1689 2013-12-14
2616 청지기 1688 2007-04-20
2615 임용우(요한) 1688 2003-10-24
2614 아그네스 1686 2007-01-24
태그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