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대한성공회 제자교회대한성공회 제자교회

  • 성공회푸드뱅크10년 - 조선일보 기사
  • 지난 22일 낮 12시 서울 세종로 고궁박물관 앞마당. '나눔이 있어 행복한 한끼, 결식이웃을 위한 무료공연입니다'라는 포스터가 내걸렸다. 젊은 밴드의 노래와 연주에 시민 수백 명이 장단을 맞췄다. 성금을 낸 시민들이 주최측이 주는 주먹밥으로 점심을 때우며 즐기는 '주먹밥 콘서트'다. 2004년 가수 이상은이 첫 공연을 한 이래 3년여 동안 전인권부터 노찾사까지 224개 팀이 무료로 출연해 2억4700만원을 모았다.

    ▶'주먹밥 콘서트'는 성공회 사회선교 담당 김한승 신부가 기획했다. 처음엔 가수들이 개런티도 안 받고 나서줄지 걱정했지만 3차례 넘게 출연한 팀도 여럿 될 만큼 호응이 좋다고 한다. 주먹밥 맛은 고급음식점 삼청각 요리사가 해결해줬다. 그에게서 자원봉사자 아주머니 7명이 일주일간 주먹밥 맛있게 만드는 법을 배워 왔다. 지금은 '닭고기+머스타드샐러드 주먹밥', '쇠고기+김치볶음 주먹밥' 식으로 40가지가 넘는다.

    ▶'주먹밥 콘서트'로 모은 돈은 서울 대학로에 식당차를 운영해 매주 화·금요일 두 차례 노숙자·노인에게 점심을 주고, 혼자 사는 노인들에게 반찬을 배달하는 데 쓴다. 성공회 푸드뱅크 사업의 하나다. 성공회는 외환위기를 겪던 1998년 식당·급식소·식품회사에서 음식을 기부 받아 굶는 이웃들에게 지원하는 푸드뱅크를 한국에 처음 도입했다. 이때 사회선교 일을 처음 맡았던 김한승 신부가 지금 푸드뱅크 본부장이다.

    ▶푸드뱅크는 1967년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에서 자원봉사를 하던 은퇴자 헨젤이 창안했다. 그는 수퍼마켓과 식당에서 엄청난 음식물이 쓰레기로 버려지는 것을 보고 남는 음식을 받아다 굶주리는 아이들에게 전했다. 기탁되는 음식이 많아지면서 저장 창고, 글자 그대로 최초의 푸드뱅크가 피닉스에 들어섰다. 푸드뱅크는 캐나다(1981년), 프랑스(1984년), 독일(1986년)로 번져갔다.

    ▶'배고픈 이 없는 세상을 향해' 나선 성공회 푸드뱅크가 어제 설립 10년을 맞았다. 전국 고아원·양로원·장애인시설 266곳을 연결해 하루 1만2000명의 이웃을 돕고 있다. 이름없는 자원봉사자와 기부자들이 이뤄낸 기적이다. 이제 푸드뱅크는 구세군 등 전국 300여 곳으로 확산돼 작년에만 404억 원어치의 식품을 모았다. 그저 '남는 음식'이 아니라 숨은 땀과 눈물, 사랑이 밴 음식들이다. 10년 전 성공회가 뿌린 씨가 어느덧 나눔과 베풂의 큰 숲으로 자랐다.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댓글 2

  • 김장환 엘리야

    2008.05.27 08:58

    '성공회 푸드뱅크' 개근 10년 음식나눔 운동 '성공적 실험'
    하루 1만여 독거노인·결식 아동 등에 음식 제공
    직원 1명에서 46명으로… 기금 후원자 1700명
    최수현 기자 paul@chosun.com


    지난 23일 오후 서울 봉천5동 '나눔의 집' 앞에 냉동트럭 한 대가 멈춰 섰다. 성공회 푸드뱅크(Food Bank) 소속 트럭이었다. 트럭 문이 열리자 나눔의 집 직원과 자원봉사자들이 큰 통에 담겨있던 음식을 도시락에 나눠 담았다. 반찬은 미역국, 계란찜, 오이무침, 돼지고기 볶음.

    도시락을 받아 든 사람들은 이 동네에 사는 독거노인 50명이었다. 김삼순(75) 할머니는 "혼자 사는 노인네들에게 매일 이렇게 귀한 음식을 갖다 줘서 감사한 마음뿐"이라며 도시락을 가슴에 품고 떠났다.

    '배고픈 이 없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성공회 푸드뱅크'가 26일 10주년 기념식을 갖는다. 대한성공회는 1998년 5월 식당, 급식소, 식품회사 등에서 남는 음식·식료품 등을 기부 받아 끼니를 굶는 이웃들에게 지원하는 '푸드뱅크' 운동을 처음 도입했다. 현재 민간단체로서는 유일하게 사업을 계속해나가고 있다.

    처음 4대에 불과했던 푸드뱅크의 트럭은 이제 22대로 불어났다. 김한승 신부(본부장)와 직원 1명으로 시작한 이 운동은 10년이 지난 현재 직원 46명에 식품 공급처 760곳, 기금 후원자가 1700명에 이른다. 266곳의 고아원, 양로원, 장애인 시설과 무연고 노숙자 등 하루 1만2000여명의 '굶주린 이웃'들이 푸드뱅크의 도움을 받고 있다.


    ▲ 성공회 푸드뱅크 자원봉사자 모임인‘반딧불회’회원들이 서울 정동 대한성공회 대성당 지하 식당에서 결식아동들에게 보낼 도시락에 기부 받은 음식물로 만든 반찬을 담고 있다. /성공회 푸드뱅크 본부 제공◆"배고픈 이 없는 세상을 향하여"

    푸드뱅크 운동은 1967년 미국에서 처음 시작돼 캐나다, 프랑스, 독일 등으로 확산된 사회복지 운동이다. 국내에는 1998년 선보였다. IMF 한파로 결식아동과 노숙자들이 쏟아져 나오던 때였다.

    김한승 신부는 "남는 음식을 기부해 달라"며 빵집부터 농산물시장까지 일일이 찾아 다녔다. "푸드뱅크가 은행 이름이냐" "먹고 탈이 날지 모르는데 어떻게 남은 음식을 주느냐"는 이들을 설득해 음식을 실어 날랐다.

    김 신부는 푸드뱅크를 '골치 아픈' 음식의 처리 수단쯤으로 여기는 잘못된 인식에 쓴 웃음을 지은 적도 많았다. 2005년 조류독감 파동이 불거졌을 땐 닭 80만t이 한꺼번에 들어왔다. 식약청이 특정 식품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회수 조치를 발표한 다음날엔 어김없이 그 식품을 기부하겠다는 업체들의 전화가 쇄도했다.

    ◆음식으로 찾은 희망

    푸드뱅크를 통해 전달되는 음식은 그저 '남은 음식'이 아니다. 거기엔 또 다른 '사랑'이 담겨있다. 봉사자들의 숨은 땀과 눈물이다. 푸드뱅크를 위해 일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자원봉사자들이다.

    경기도 일산에 사는 주운석(70) 할아버지는 매주 금요일 푸드뱅크 본부가 노숙자 급식을 나갈 때마다 현장에 나와서 밥을 나른다. 할아버지는 두 다리에 의족을 달고 있는 장애인이다. 조금만 움직여도 땀이 빗물처럼 흐르지만, 몸이 불편하다는 사실을 숨긴 채 8년째 봉사를 해오고 있다.

    봉사모임인 '반딧불회' 소속 주부 7명은 매일 음식을 만드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는다. 때론 수천 명 분량의 음식을 한꺼번에 만들어야 하는 고된 일이지만, 이들은 "일할 수 있어서 행복하다"고 입을 모은다. 회원들은 서울 시내 유명 호텔과 음식점을 찾아 다니며 조리법을 배워올 정도로 열심이다.

    몇몇 대기업에서는 아예 구내식당 음식을 만들 때 일부러 몇 백 명이 더 먹을 수 있는 분량을 만든다. 푸드뱅크에 지원을 하기 위해서다.

    사랑과 정성이 담긴 음식은 소외된 이웃들의 허기진 배뿐만 아니라, 텅 빈 '가슴'까지 채워줬다. 김모(70) 할머니는 4년 전 트럭운전을 하던 아들이 뺑소니 사고를 내 감옥에 가고, 며느리까지 가출하자 6살짜리 손녀와 입에 풀칠을 하기도 막막한 지경이 됐다. 사정을 전해들은 푸드뱅크에서 아들이 출소할 때까지 3년간 하루도 빠짐없이 음식을 실어 나르며 가족처럼 보살폈다. 3년 뒤 감옥에서 나온 아들은 푸드뱅크를 찾아와 "고맙다"며 눈물을 흘렸다.

    성공회 푸드뱅크본부 관계자들에겐 10주년 기념식보다 함께 열리는 '도심조리센터' 개소식이 더 가슴 설레는 일이다. 그 동안 주말에는 급식을 할 수 없었던 아쉬움이 해결됐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푸드뱅크는 대한성공회 대성당 지하의 구내식당 조리시설을 이용했는데, 주말에는 사용이 어려웠다.

    김한승 신부는 "푸드뱅크 운동은 한해 480만t에 달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자원도 절약할 수 있는 친환경운동"이라며 "복지 혜택의 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에게 질 좋은 음식을 나눠줄 수 있도록 더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고 했다.

    입력 : 2008.05.26 00:22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니니안

    2008.05.27 12:59

    내가 아직도 소극적 울타리안에 머무르고 있음에 안타까움을 느낌니다.
    사랑의 봉사자를 부르시고 일하게 하시는 주님은 그 들을 더 사랑하시나 봅니다.조만간 내가 부름받고 나아가 길 기도하며 기다립니다.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등록일 
2332 노아 1402 2014-07-22
2331 김광국 1402 2012-03-29
2330 이종림 1402 2011-05-23
2329 김장환 엘리야 1402 2006-10-06
2328 임용우(요한) 1402 2003-10-24
2327 청지기 1401 2023-07-23
2326 김장환 엘리야 1401 2011-11-14
2325 강인구 ^o^ 1401 2007-11-08
2324 (엘리아)김장환 1401 2004-01-20
2323 임용우(요한) 1401 2003-11-11
2322 기드온~뽄 1400 2013-03-23
2321 강인구 ^o^ 1400 2008-07-09
2320 박마리아 1398 2011-03-16
2319 전미카엘 1398 2004-08-11
2318
EDTS +3
조기호 1398 2004-02-06
2317 김문영 1397 2012-04-13
2316 김장환 엘리야 1396 2012-03-03
2315 † 양신부 1396 2011-07-26
2314 김장환 엘리야 1396 2007-05-05
2313 김바우로 1396 2004-04-29
태그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