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대한성공회 제자교회대한성공회 제자교회

  • 모래 와 돌 (폄)
  • 조회 수: 2020, 2003-07-03 09:43:58(2003-07-03)
  • 모래? 아니면 돌…?


    두 사람이 사막을 걸어가고 있었습니다.

    여행 중에 문제가 생겨 서로 다투게 되었습니다.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뺨을 때렸습니다.

    뺨을 멎은 사람은 기분이 나빴지만 아무 말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모래에다 이렇게 적었습니다


    “오늘 가장 친한 친구가 내 뺨을 때렸다”


    그들은 오아시스가 나올 때 까지 말없이 걸었습니다.

    마침내 오아시스에 도착한 두 친구는 그곳에서 목욕을 하기로 했습니다.

    뺨을 맞은 사람이 목욕을 하러 들어가다 늪에 빠지게 되었는데

    그 때 뺨을 때렸던 친구가 그를 구해주었습니다.

    늪에서 빠져 나왔을 때, 이번에는 돌에 이렇게 썼습니다.


    “오늘 가장 친한 친구가 나의 생명을 구해 주었다”


    그를 때렸고 또한 구해준 친구가 의아해서 물었습니다.

    “내가 너를 때렸을 때는 모래에다 적었는데

    왜 너를 구해준 후에는 돌에다 적었지?”


    친구는 대답했습니다.

    “누군가 우리를 괴롭혔을 때 우리는 모래에 그 사실을 적어야 해.

    용서의 바람이 불어와 그것을 지워버릴 수 있도록….”

    “그러나 누군가가 우리에게 좋은 일을 했을 때는 우리는 그 사실을 돌에 기록해야 해.

    그래야 바람이 불어와도 영원히 지워지지 않을 테니까.”


    우리 속담에 “원수는 물에 새기고 은혜는 돌에 새기라”는 말이 있습니다

    생각하면 맞는 말이지만 가만히 돌아보면 우리는 그것을 거꾸로 할 때가 많습니다.


    잊어서는 안될 소중한 은혜는 물에 새겨 금방 잊어버리고,

    마음에서 버려야 할 원수는 돌에 새겨서 두고 두고 기억하는 것이지요.

    은혜를 마음에 새기면 고마움이 마음에 남아

    누구를 만나도 무슨 일을 만나도 즐겁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마음에 원수를 새기고 나면

    그것은 괴로움이 되어 마음 속에 쓴뿌리를 깊히 내리게 됩니다.

    우리의 마음은 하나여서

    은혜를 새기든 원수를 새기든 둘 중에 하나일 수 밖에 없습니다.


    한번 내 마음을 조용히 돌아봅시다.

    지금 내 마음 속에 새겨져 있는 것은 무엇인지 돌아봅시다.

    내 마음 가득히 원수를 새기고 쓴뿌리를 키우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은혜를 새기고 늘 감사하며 살아가는지…..

    돌아보았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0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등록일 
3611 청지기 6222 2019-02-11
3610 김영수(엘리야) 6213 2014-04-01
3609 청지기 6197 2019-04-07
3608 하인선 6196 2003-03-06
3607 김장환 6175 2003-05-01
3606 박마리아 6122 2014-04-01
3605 박마리아 6000 2015-11-13
3604 김바우로 5973 2004-07-23
3603 박마리아 5954 2014-04-26
3602 김장환 5948 2003-03-28
3601 이주현 5944 2003-04-02
3600 김장환 5933 2003-04-02
3599 김장환 5921 2003-03-12
3598 청지기 5900 2019-02-10
3597
용서 +3
이병준 5894 2003-03-06
3596 김동규 5884 2015-03-31
3595 박마리아 5871 2014-01-25
3594 임용우 5868 2005-10-31
3593 청지기 5866 2019-02-20
3592 청지기 5827 2019-02-10
태그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