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대한성공회 제자교회대한성공회 제자교회

  • 일제 식민지배는 하나님의 뜻인가?(2) - 김동건교수
  • 일제 식민지배는 하나님의 뜻인가?(2)
    ---세상과 함께 하시는 하나님, 세상의 악을 미워하시는 하나님

    독일 히틀러 정권의 살상, 캄보디아 크메르루즈의 민간인 학살, 일본제국의 학살을 하나님이 기뻐하셨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그런데 왜 이런 대학살이 하나님의 뜻이라거나, 혹은 하나님의 통치의 일부라고 생각하는 것일까? 왜 기독교인들이 이런 역사의식을 가지고 있는 것인가?

    <세상과 함께 하시는 하나님>
    많은 이유가 있지만, 오늘은 주된 이유 하나를 보겠다. 이런 주장의 저변에는 하나님께서 이 세상의 ‘모든 일’을 간섭하신다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이 세상의 가장 작은 일도 하나님의 허락하심 속에 있다는 믿음이다.
    ...
    성경은 참새 두 마리가 팔리는 것도 하나님의 허락 속에 있고(마태 10:29), 하나님은 우리의 머리털까지 다 세신다고 말한다.(누가 12:7) 이런 구절을 잘못 해석하면, 성경에 언급된 고난의 사건이나 전쟁도 하나님의 뜻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여기서 생각은 한 번 더 비약한다. 즉 세상에 일어나는 ‘모든 일’이 하나님의 주권에 속한다고 생각하게 된다.

    이런 생각은 더할 수 없는 혼란과 모순으로 이어진다. [‘모든 일’이 하나님의 뜻이라면, 성폭행을 당하고, 왕따를 당하고, 살인을 당하고, 세월호에서 죽어간 무고한 학생들, 그리고 온갖 악한 일도 하나님의 뜻이란 말인가?]

    신정론은 변증법적 과정을 거쳐서 이해를 해야 한다. 그런데 성경의 일부 구절을 변증법적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적인 단선구조로 받아들이면 풀지 못할 오해에 빠진다.

    ‘참새 두 마리’ 구절을 그대로 믿는 것은 순박한 신앙이다. 나도 그대로 믿는다. 하지만 해석을 잘해야 한다.

    이 말은 하나님은 ‘우리’와 함께 하신다는 표현이다. 이 세상의 작은 일도 하나님이 소중하게 보시고, ‘세상’ 함께 하시겠다는 약속이다.

    이는 성육신 사건과 동일한 맥락에서 볼 수 있다. 임마누엘! 하나님이 인간이 되신 사건이다. 성육신은 하나님이 이 세상과 함께 하시고 우리와 함께 하시겠다는 말씀이다.(마태 1:23) 세상의 작고, 나약하고, 고통받는 현실도 하나님이 외면하지 않는다는 약속이다.

    <세상의 악을 미워하시는 하나님>
    ‘세상과 함께 하신다’는 것이 하나님이 세상의 악을 용인하셨다는 것이 아니다. 증오와 살상, 폭력과 전쟁, 악의 지배가 하나님의 뜻이 될 수 있는가? 성경의 하나님은 악을 미워하신다.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은 악을 미워하는 것”(잠언 8:13)이며, “여호와를 사랑하는 너희여 악을 미워하라”(시편 97:10), 바울은 “악을 미워하고 선에 속하라”고 선언한다.(롬 12: 9)

    성경이 살인을 미워하고, 형제를 억압하고, 악을 행하는 것을 미워하는 것은 명확하다.

    <두 언어의 혼돈>
    이제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해보자. 하나님이 ‘세상과 함께 하시겠다’는 약속과 ‘세상의 악을 미워하신다’는 선포를 혼돈해서는 안 된다.

    식민지배나 전쟁이 하나님의 주권 속에 있다는 생각은 이런 혼돈에서 야기된다.

    하나님이 이 세상의 가장 작은 자와 함께 하고, 가장 낮은 곳에도 임하시는 것은 사실이다. 전쟁과 살상의 현장도 하나님이 외면하지 않는다. 하지만 전쟁과 살상이 하나님의 뜻이기 때문이 아니다. 성경의 하나님은 전쟁과 살상을 즐기는 기괴한 신이 아니다.

    하나님은 전쟁과 살상을 원하시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현장에서 고통받는 자들과 함께 계시고, 죽어가는 자들과 함께 계신다. [즉 하나님은 식민지배를 원하셨던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식민지배에 맞서 싸웠던 자들과 함께 하셨고, 또 식민지배에 희생되고 고통받은 자들과 함께 하셨던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고통의 현장에 임하며, 우리와 함께 하시겠다는 약속을 웅변적으로 보여준다. 성경의 중심에는 십자가에 달린 그리스도가 있다! 성경은 무력해 보이는, 비참하게 달려 죽어간 그리스도를 직시하게 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은 십자가 없는 ‘번영의 신학’에 대해, ‘식민지배의 신학’에 대해 언제나 “아니오!”를 말한다. ‘십자가의 신학’은 맹렬무비한 것이다.

댓글 1

  • 김장환엘리야

    2014.06.18 10:54

    .일제 식민지배는 하나님의 뜻인가?(1)
    ---나는 식민지배의 신을 믿지 않는다.

    [이 주제는 신학에서 ‘신정론’에 해당된다. 고통과 악의 현실 속에서 하나님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의 주제이다. 쉽지 않는 주제이고 분량이 많아서 몇 회에 나누어서 올리려 한다.]

    문창극 총리 후보의 강연 중에 “일제 식민지배와 남북분단은 하나님의 뜻”이라는 말 때문에 시끄럽다.

    문 후보는 자신의 말이 논란이 되자 이렇게 해명했다.
    “‘하나님은 왜 이 나라를 일본한테 식민지로 만들었습니까?’라고 우리가 항의할 수 있겠다. 하나님의 뜻이 있는 것이다. ‘너희들은 이조 5백년 허송세월 보낸 민족이다. 너희들은 시련이 필요하다’”라고 강연했다.
    또한 “하나님은 남북분단을 만들게 주셨다. 저는 지금 와서 보면 그것도 하나님...의 뜻이라고 생각한다. 그 당시 우리 체질로 봤을 때 한국한테 온전한 독립을 주셨으면 공산화될 수밖에 없었다.”(6월 13일, 인터넷 동아일보)

    이 주장을 다양한 시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오늘은 이런 사상이 “신학적”으로 옳은지를 판단해 보려한다. 시민단체의 입장이나 정치적 관점에서 말하지 않고, 신학적인 접근을 하려한다. 이 문제가 신학적으로 정리되지 않으면, 기독교인들은 여전히 이와 유사한 주장에 대해 혼란을 가질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교회에 식민지배나 남북분단을 하나님의 뜻이라고 주장하는 목회자나 기독교인이 제법 많다. 그렇기에 심각하다.

    역사적으로 이런 주장은 종종 있었다. 대표적인 경우가 ‘히틀러의 지배’가 하나님의 뜻이라는 독일 제3제국의 주장을 들 수 있다.

    히틀러가 부상하면서 독일교회(그리스도 연맹)는 1933-1934년 사이에 여러 차례 성명을 발표하여 히틀러를 공개적으로 지지하였다. 그 내용의 일부를 예로 보자: “그리스도가 히틀러를 통해 우리에게 왔다.”(1933년 8월) “히틀러를 통해 참 도움이며 구원자인 하나님, 곧 그리스도가 우리 가운데 그의 능력을 나타낸다.”(1934년 3월) “히틀러가 독일 교회를 그리스도의 교회로 만드는 것은 하나님의 뜻이고 성령의 길이다.”(1934년 3월)

    이상하지 않은가? 히틀러는 전쟁으로 무수한 생명을 죽였으며, 그의 행위는 성경의 생명사상에 극명히 위배된다. 그런데 히틀러가 하나님의 뜻이라니? 어떻게 이런 이상한 생각을 할 수 있을까.

    당시 독일의 잘못된 역사의식 속에서 신학은 왜곡되었고, 신앙은 길을 잃었다. 잘못된 생각이 집단화하면 악령이 음산하게 휘돌아치며 정신을 홀리듯이, 순식간에 어떤 ‘시기’나 ‘지역’을 혼란스럽게 만든다.

    당시 독일교회는 민족적 배타성과 이익 앞에서 성경의 윤리, 평화, 생명, 사랑, 형제애 같은 예수님의 가르침은 생각하지 못하고 있었다.

    우리의 이야기로 돌아가자. 일제의 식민지배는 성경의 정신과 정면으로 충돌한다. 식민지배 동안에 무수한 생명이 죽고, 하나님의 형상을 가진 인간의 존엄성이 무너지고, 착취와 수탈, 나아가 반인륜적인 행위가 극에 달했다.

    그런데... 일제 식민지배가 하나님의 뜻이라구? 식민지배를 하나님이 원하셨다? 그렇다면 나는 이런 하나님을 믿지 않겠다. 내가 믿는 하나님은 생명의 하나님이고, 사랑의 하나님이며, 고통을 미워하고 억울한 것을 풀어주시는 하나님이다.

    나는 고백한다. 식민지배를 용인하고 식민지배를 이용하는 신은 거부하겠다. 이 신은 억압의 신이요, 어둠의 신이요, 죽음의 신이다.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등록일 
1364 김장환엘리야 5302 2015-01-09
1363 김장환엘리야 3779 2014-08-16
1362 김장환엘리야 4626 2014-06-24
김장환엘리야 3736 2014-06-18
1360 김장환엘리야 4221 2014-06-17
1359 김장환엘리야 4273 2014-06-17
1358 김장환엘리야 4352 2014-05-14
1357 김장환엘리야 3508 2014-05-07
1356 김장환엘리야 3416 2014-05-07
1355 김장환엘리야 3192 2014-04-28
태그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